안녕하세요, 콘텐츠 마케팅 스터디 코너의 선우의성입니다. 과거, 기업의 브랜드 캠페인은 대부분 TV 광고를 중심으로 운영됐습니다. 하지만 저는 새로운 물결을 만들고 싶었는데요. 그 노력 중에서도 2019년, 브랜드 캠페인 을 '온리 디지털'로 기획한 게 기억에 남아요. 유튜브, 인스타그램, 페이스북, 블로그 등 기
지난번에 마케터가 구글 AI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[AI Now: Boost Bites]를 소개드렸었는데요. 1편, 구글의 AI 제미나이(Gemini)로 마케팅 기획안 만드는 법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셨어요. 감사해요😆 👉 구글 AI, 제미나이로 마케팅 기획안 만드는 법 그리고 오늘은 2편으로 구
언젠가부터 별안간 이상한 쇼츠가 자주 보입니다. 누가 봐도 엉터리 한국어(AI)로 더빙된 영상이나, 크게 웃기지 않은 상황인데도 웃음소리를 넣는다거나, 말도 안 되는 선택지를 주는 상황극 등 중국발 양산형 쇼츠들이요. 이 영상들은 주로 틱톡에서 탄생해 한국어 더빙을 입히고 유튜브로 넘어온다고 해요. 대표적으로 중국
알고리즘 중독의 아이콘, 틱톡 틱톡이 등장한 건 2019년이지만, 다른 SNS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시장을 장악해 단 5년 만에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높은 플랫폼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. 사진: Unsplash 2024년 기준으로 틱톡의 전 세계 월간 활성사용자(MAU)는 17억 명 이나 됩니다.
큐레터 이야기 보러가기
피드백 하러가기
키워드 검색하기
최신 마케팅 소식을 전달하는큐레터와 함께 하세요!